• 최종편집 2024-04-24(수)

통합검색

검색형태 :
기간 :
직접입력 :
~

뉴스광장 검색결과

  •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
    서울에 사는 B씨는 봄이면 이웃 주민과 함께 인근 도로변이나 하천변에서 쑥 등 봄나물을 캔다. 하지만 최근 도로변 봄나물에 중금속 위험이 있어 채취를 자제해달라는 현수막을 보곤 꺼림칙한 마음이 생겼다. A씨는 “주말에도 하천변에서 나물을 캐오긴 했지만 조리해 먹어야 할지 고민이다”라고 말했다. 식품안전업계 등에 따르면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가 있어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봄이면 도로변, 야산 등에서 나물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봄나물이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춘곤증을 이기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 곳에서나 봄나물을 채취해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농촌 야산, 들녘 등에서 야생하는 봄나물을 채취해 납·카드뮴 등 중금속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으나 도심 하천변이나 도로변 등에서 자라는 야생 봄나물에서는 농산물 허용 기준보다 중금속이 높게 검출 사례가 있었다. 식약처는 농산물 중금속허용 기준을 쑥, 냉이, 민들레 등 엽채류는 납 0.3ppm·카드뮴 0.2ppm 이하, 달래, 돌나물 등 엽경채류는 납 0.1ppm·카드뮴 0.05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는데, 도로변 등에서 자란 일부 봄나물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이다. 봄나물 속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시장 또는 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봄나물을 구입해서 섭취하면 된다. 시중에 유통되는 봄나물도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데쳐서 조리 후 섭취한다. 나물은 데치면 중금속이 줄어든다. 하지만 데친 물에는 중금속이 녹아 있어 재사용을 하면 안 된다. 고사리, 질경이, 원추리, 고사리와 생김새가 비슷한 고비 등은 데친 후 물에 충분히 우려내면 중금속을 비롯해 독성성분도 제거된다. 또 데치기 전에 흙,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의 예방을 위해서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이 씻는 것이 좋다. 들녘이나 야산 등에서 채취한 봄나물도 조심해야 한다. 미나리와 유사한 독미나리, 산마늘과 비슷한 은방울꽃 등 독초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원추리는 어린 순만 채취해 충분히 데쳐서 먹어야 하는데, 함부로 먹었다가는 봄철 식중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추리의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은 식물이 성장할수록 많아진다. 콜히친은 수용성으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 뉴스광장
    • 산업/유통
    2024-04-15

단체소식 검색결과

  •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
    서울에 사는 B씨는 봄이면 이웃 주민과 함께 인근 도로변이나 하천변에서 쑥 등 봄나물을 캔다. 하지만 최근 도로변 봄나물에 중금속 위험이 있어 채취를 자제해달라는 현수막을 보곤 꺼림칙한 마음이 생겼다. A씨는 “주말에도 하천변에서 나물을 캐오긴 했지만 조리해 먹어야 할지 고민이다”라고 말했다. 식품안전업계 등에 따르면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가 있어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봄이면 도로변, 야산 등에서 나물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봄나물이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춘곤증을 이기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 곳에서나 봄나물을 채취해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농촌 야산, 들녘 등에서 야생하는 봄나물을 채취해 납·카드뮴 등 중금속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으나 도심 하천변이나 도로변 등에서 자라는 야생 봄나물에서는 농산물 허용 기준보다 중금속이 높게 검출 사례가 있었다. 식약처는 농산물 중금속허용 기준을 쑥, 냉이, 민들레 등 엽채류는 납 0.3ppm·카드뮴 0.2ppm 이하, 달래, 돌나물 등 엽경채류는 납 0.1ppm·카드뮴 0.05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는데, 도로변 등에서 자란 일부 봄나물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이다. 봄나물 속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시장 또는 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봄나물을 구입해서 섭취하면 된다. 시중에 유통되는 봄나물도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데쳐서 조리 후 섭취한다. 나물은 데치면 중금속이 줄어든다. 하지만 데친 물에는 중금속이 녹아 있어 재사용을 하면 안 된다. 고사리, 질경이, 원추리, 고사리와 생김새가 비슷한 고비 등은 데친 후 물에 충분히 우려내면 중금속을 비롯해 독성성분도 제거된다. 또 데치기 전에 흙,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의 예방을 위해서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이 씻는 것이 좋다. 들녘이나 야산 등에서 채취한 봄나물도 조심해야 한다. 미나리와 유사한 독미나리, 산마늘과 비슷한 은방울꽃 등 독초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원추리는 어린 순만 채취해 충분히 데쳐서 먹어야 하는데, 함부로 먹었다가는 봄철 식중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추리의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은 식물이 성장할수록 많아진다. 콜히친은 수용성으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 뉴스광장
    • 산업/유통
    2024-04-15

포토뉴스 검색결과

  •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
    서울에 사는 B씨는 봄이면 이웃 주민과 함께 인근 도로변이나 하천변에서 쑥 등 봄나물을 캔다. 하지만 최근 도로변 봄나물에 중금속 위험이 있어 채취를 자제해달라는 현수막을 보곤 꺼림칙한 마음이 생겼다. A씨는 “주말에도 하천변에서 나물을 캐오긴 했지만 조리해 먹어야 할지 고민이다”라고 말했다. 식품안전업계 등에 따르면 도심 도로나 하천변 등에서 자라는 봄나물은 중금속 오염 우려가 있어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좋다. 봄이면 도로변, 야산 등에서 나물을 채취하는 사람들을 쉽게 볼 수 있다. 봄나물이 비타민, 무기질 등 영양성분이 풍부하고, 춘곤증을 이기는 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무 곳에서나 봄나물을 채취해 섭취하면 위험할 수 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농촌 야산, 들녘 등에서 야생하는 봄나물을 채취해 납·카드뮴 등 중금속을 조사한 결과 안전한 것으로 확인됐으나 도심 하천변이나 도로변 등에서 자라는 야생 봄나물에서는 농산물 허용 기준보다 중금속이 높게 검출 사례가 있었다. 식약처는 농산물 중금속허용 기준을 쑥, 냉이, 민들레 등 엽채류는 납 0.3ppm·카드뮴 0.2ppm 이하, 달래, 돌나물 등 엽경채류는 납 0.1ppm·카드뮴 0.05ppm 이하로 관리하고 있는데, 도로변 등에서 자란 일부 봄나물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이다. 봄나물 속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시장 또는 마트 등에서 유통되는 봄나물을 구입해서 섭취하면 된다. 시중에 유통되는 봄나물도 중금속이 걱정된다면 데쳐서 조리 후 섭취한다. 나물은 데치면 중금속이 줄어든다. 하지만 데친 물에는 중금속이 녹아 있어 재사용을 하면 안 된다. 고사리, 질경이, 원추리, 고사리와 생김새가 비슷한 고비 등은 데친 후 물에 충분히 우려내면 중금속을 비롯해 독성성분도 제거된다. 또 데치기 전에 흙, 잔류농약, 식중독균 등의 예방을 위해서 물에 담갔다가 흐르는 수돗물에 3회 이상 깨끗이 씻는 것이 좋다. 들녘이나 야산 등에서 채취한 봄나물도 조심해야 한다. 미나리와 유사한 독미나리, 산마늘과 비슷한 은방울꽃 등 독초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원추리는 어린 순만 채취해 충분히 데쳐서 먹어야 하는데, 함부로 먹었다가는 봄철 식중독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추리의 콜히친(Colchicine)이라는 알칼로이드 성분은 식물이 성장할수록 많아진다. 콜히친은 수용성으로 끓는 물에 충분히 데치는 것만으로도 쉽게 제거가 가능하다.
    • 뉴스광장
    • 산업/유통
    2024-04-15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