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6-19(목)
 
1.정부대전청사 기자브리핑실 성명서 발표_20250417_112043267.jpg
정부대전청사 기자브리핑실 성명서 발표<사진=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2025년 4월 17일 (목) 오후 5시 30분 전국 140개 임업 연합체(한국임업후계자협회) 소속 회원 150명이 산불 대응 실패와 구조적 정책 부재에 항의하며 정부대전청사 남문 앞에서 삭발식을 단행했다.


2.임업인 8대 요구서 낭독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장 최상태.JPG
한국임업후계자협회 최상태 회장 임업인 8대 요구서 낭독<사진=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삭발은 중앙회장과 임원진, 도지회장, 산불피해 협의회 간부들을 중심으로 이뤄졌으며, 현장은 엄숙한 침묵 속에서 진행된 생존권 수호의 결의의 장이 되었다.


3.산불피해에 대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응과 제도 개선을 촉구 삭발식 (우측 경남도지회장 강대성, 감사 김성문, 최상태회장, 부회장 정목영, 경북도지회 이성일, 경북피해회원 이상범) 12025.4.17.JPG
산불피해에 대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응과 제도 개선을 촉구 삭발식 (우측 경남도지회장 강대성, 감사 김성문, 최상태회장, 부회장 정목영, 경북도지회 이성일, 경북피해회원 이상범)<사진=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정부는 침묵했고, 우리는 잿더미 위에 섰다” 이날 삭발에 참여한 임업인들은 다음과 같은 메시지를 발표했다.

“더는 기다리지 않겠습니다. 숲은 불타고, 임가는 무너졌습니다. 국가는 응답하지 않았고, 우리는 희생당했습니다. 이 삭발은 항의가 아니라 경고입니다. 산림을 외면한 책임을 묻고, 제도를 바꾸기 위해 우리는 행동합니다.”


이날 주요인사로는 최상태 한국임업후계자협회장, 정목영 부회장, 김성문 감사, 강대성 경남도지회장, 이성일 경북도지회 사무처장, 이상범 경북도지회 영덕군협의회 회원 등이 삭발식에 참여했다.


6.산불피해에 대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응과 제도 개선을 촉구 최상태회장외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원 2025.4.17(4).JPG
산불피해에 대한 정부의 책임있는 대응과 제도 개선을 촉구 최상태회장외 한국임업후계자협회 회원<사진=한국임업후계자협회 제공>

 

현장에서는 임업인 8대 요구를 제시했다.

1. 정부는 산불을 국가재난으로 선언하고, 기후위기 대응 핵심 전략 지정 등 재난 체계를 전면 개편하라.

2. 산림청은 피해 임업인에게 임업직불금 지급과 신속한 복구 보상을 시행하라.

3. 국회는 산불재난특별법을 제정하고, 정부는 고향사랑기부금 등 범국민 지원체계를 확대하라.

4. 국회는 녹색자금의 법정 용도에 ‘임업인 소득향상 및 산촌 피해복구’를 명시하고, 산림자원법을 개정하여 직접적인 자금을 집행하라. 

5. 산불을“소나무 탓”, “임업인 탓”으로 하는 허위선동을 중단하고, 정부는 가짜뉴스에 대해 법적 처벌을 시행하라.

6. 산림청은 임도 확충, 대형헬기 도입, 진화대 정규직화, 스마트 진화장비 구축에 즉각 투자하라.

7. 산림청은 산불 실화자는 무관용 원칙으로 엄벌하고, 예방 중심의 교육・관리체계 제도화를 구축하라.

8. 정부는 국립공원 포함 모든 산림을 산림청으로 일원화하여 책임 소재를 통합하라.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산불 피해 복구, 이제는 말이 아니라 행동이다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